🧭 시리즈 전체 보기 → [늦깎이 Git 입문서 목차]
📘 Ep.00 | Prologue. 왜 나는 Git을 배우기로 했는가?
📘 Ep.01 | Git은 되돌릴 수 있는 나의 일기장이다
📘 Ep.02 | Git 설치부터 따라하기 – 나만의 환경 만들기
📘 Ep.03 | git init과 첫 커밋 — 이곳에서 기록이 시작된다
📘 Ep.04 | 커밋은 시간의 북마크 — log, diff, HEAD
📘 Ep.05 | 실수도 기록이다 — reset과 revert
📘 Ep.06 | 나만의 평행 우주 — 브랜치란 무엇인가?
📘 Ep.07 | GitHub란 무엇인가 — 기록의 창고
📘 Ep.08 | README는 디지털 자기소개서다
📘 Ep.09 | 나만의 Git 루틴 만들기
📘 Ep.10 | Git으로 삶을 정리한다 — 늦깎이들의 회고법
🧘♂️ 기록은 삶의 리듬이 된다
Git을 배우다 보면
처음에는 모든 명령이 낯설고 버겁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git add .
git commit -m “오늘 작업 정리”
이 조합이 하루의 마무리 의식처럼 느껴진다.
그건 단순히 코드를 저장하는 게 아니라,
하루를 되짚고 정리하는 루틴이 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 루틴처럼 Git 쓰기
🌞 아침 – 어제의 기록 돌아보기
git log --oneline
어제 남긴 커밋 메시지를 보는 것만으로
오늘의 방향이 정리될 수 있다.
💻 작업 중간 – 자주 커밋하자
git add .
git commit -m "작업 중간 저장"
실수하더라도, 되돌릴 수 있는 지점을 자주 만들어라.
그것이 정신적 여유를 만든다.
🌒 하루 끝 – 일기처럼 커밋 메시지 남기기
git commit -am "오늘 배운 것 정리 및 마무리"
이건 개발자가 아닌 사람에게도 유효한
디지털 회고의 언어다.
🧠 나만의 커밋 메시지 스타일 만들기
유형 | 메시지 예시 |
---|---|
기능 추가 | feat: 회원가입 기능 추가 |
버그 수정 | fix: 로그인 시 토큰 오류 해결 |
문서 정리 | docs: README 목차 정리 |
일상 기록 | chore: 오늘의 생각 간단히 기록함 |
실험 테스트 | test: 브랜치 기능 테스트 및 실험 시작 |
Git은 기술이 아니라 말의 습관이다.
어떤 메시지를 남기느냐가 곧 너의 리듬이 된다.
🧘 나의 하루를 버전 관리하는 느낌
Git을 쓰는 건
어쩌면 나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다는 뜻이다.
매일 아침 일어나 log로 어제를 되짚고,
낮에는 add와 commit으로 흔적을 남기고,
밤에는 README처럼 하루를 정리한다면,
우리는 단순한 개발자를 넘어서
기록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 마무리하며
Git은 코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기억을 위한 것이다.
하루에 한 번,
작은 커밋을 남기는 것으로도
우리는 성장할 수 있다.
작고 성실한 Git 루틴이
너를 지치지 않게 붙잡아줄 거야.
🔖 다음 예고
📘 Ep.10 | Git으로 삶을 정리한다 — 늦깎이들의 회고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