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개발일지

  • [느위터 리빌드 프로젝트] Ep.01 Vite로 다시 시작한 이유

    [느위터 리빌드 프로젝트] Ep.01 Vite로 다시 시작한 이유

    깃허브를 다시 열었다.

    2023년에 샀던 클론코딩 트위터 책이 눈에 들어왔다.

    그 책과 함께 공부했던 프로젝트도 보였다.

    이미 오래전 기억 속으로 물러난 React에 대한 호기심이 다시 꿈틀거렸다.

    “트위터 같은 채팅 프로그램을 한 번 더 만들어보고 싶다.”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때는 책에 딸린 동영상 강의가 30강 정도였고,

    니꼴라스라는 강사의 리듬을 따라 코딩하면 큰 어려움 없이 완성할 수 있었다.

    책을 다시 꺼내어 책상 위에 올려두고,

    익숙했던 Nomad Coders 홈페이지에 다시 접속했다.

    그런데 2년이라는 시간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바꿔놓고 있었다.

    예전의 무료 강의들 중 상당수가 접속되지 않았고,

    내가 들었던 트위터 클론 강의도 접근이 어려웠다.

    다행히, 트위터 강의 자체는 여전히 무료로 공개되어 있었다.

    나는 주저 없이 첫 강의를 클릭했다.

    니꼴라스는 늘 강의를 잘 업데이트하는 사람이다.

    이번에도 트위터 강의는 새롭게 바뀌어 있었다.

    문제는… 내가 완전히 잊어버린 상태라는 거였다.

    React에 대한 기억은 거의 ‘제로’ 상태였고,

    무엇보다 책에 나온 코드와는 너무나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파이어베이스 설정 같은 일부 흐름은 유사했지만,

    전체적인 구성은 책을 따라가는 방식과 전혀 달랐다.

    책에서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방식이 **React + CRA(Create React App)**였는데,

    강의에서는 Vite라는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예전의 React도 따라가기 어려웠는데,

    Vite까지 등장하다니…

    조금 당황스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다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했다.

    기억을 복구하는 일이 아니라,

    과거의 열정을 새롭게 리빌드(rebuild) 하는 일이니까.

    이번엔 따라가기만 하지 않고,

    내 방식으로 기록하고 이해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