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가 없었다면 아마 여기까지 오지 못했을 것이다.
메모가 있었기에 내일을 모색하고, 나를 탐구할 수 있었고,
지나온 족적들을 수시로 들추어 볼 수 있었다.
메모는 나의 외부 기억장치다
뇌는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더더욱 그러하다.
기억의 한계를 느끼는 순간부터, 나는 메모를 내 두 번째 뇌로 삼았다.
메모는 단순한 기록이 아닌 ‘생각의 실마리’다.
메모 없이 사업을 시작한다고?
나는 이제 중년이다.
뒤늦게 창업을 준비하는 이 시점에서,
메모 없이 아이디어를 관리한다는 건 무모한 일이다.
기억에 의존했던 과거와 메모를 기반으로 계획하는 현재는 분명히 다르다.
메모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다
나는 메모를 비망록처럼 쓴다.
기억을 위한 메모가 아니라, 생각을 확장하기 위한 메모다.
때론 일기 같고, 때론 아이디어 노트 같기도 하다.
구조화된 메모가 진짜다
무작정 적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는 메모여야 한다.
도서관의 책처럼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제텔카스텐의 철학은 그걸 가능하게 한다.
니클라스 루만이 말한 메모의 힘
독일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은
‘제텔카스텐(메모 상자)’이라는 시스템으로
90여 권 이상의 책을 썼다.
그는 말했다.
“누구도 글을 쓰지 않고는 생각할 수 없다.”
이 말은 곧 이렇게 들린다.
“메모하지 않는다면, 생각하지 않고 사는 것이다.”
AI 시대, 정보의 홍수 속 생존 전략은 메모다
AI는 이미 수많은 정보를 쏟아내고 있다.
우리는 정보를 흘려보내지 말고 구조화해 쌓아야 한다.
그 출발점은 ‘메모’다.
관망할 것인가, 기록할 것인가
오늘도 수많은 사람이 멍하니 정보를 소비한다.
하지만 생산하는 자만이 변화의 흐름을 타고 성장한다.
메모는 바로 변화의 흐름을 붙잡는 닻이다.
결론: 메모는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이다
- 기억이 아닌 사고의 기반
- 창업자의 필수 무기
- 정보를 연결하는 도구
- 미래의 나에게 보내는 편지
📌 요약
메모는 중년 창업자의 생존 전략이며,
AI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창작자의 핵심 도구다.
✍️ 글쓴이: 늦깎이 연구소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