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즈 전체 보기 → [늦깎이 Git 입문서 목차]
📘 Ep.00 | Prologue. 왜 나는 Git을 배우기로 했는가?
📘 Ep.01 | Git은 되돌릴 수 있는 나의 일기장이다
📘 Ep.02 | Git 설치부터 따라하기 – 나만의 환경 만들기
📘 Ep.03 | git init과 첫 커밋 — 이곳에서 기록이 시작된다
📘 Ep.04 | 커밋은 시간의 북마크 — log, diff, HEAD
📘 Ep.05 | 실수도 기록이다 — reset과 revert
📘 Ep.06 | 나만의 평행 우주 — 브랜치란 무엇인가?
📘 Ep.07 | GitHub란 무엇인가 — 기록의 창고
📘 Ep.08 | README는 디지털 자기소개서다
📘 Ep.09 | 나만의 Git 루틴 만들기
📘 Ep.10 | Git으로 삶을 정리한다 — 늦깎이들의 회고법
🪞 아무도 모르면, 없는 것과 같다
아무리 정성껏 만든 프로젝트도
누군가에게 설명하지 않으면
그건 세상에 없는 것과 같다.
GitHub는 우리에게 말한다:
“너의 기록을 잘 소개해봐.
그건 단순한 기술 문서가 아니라,
누군가가 너를 처음 만나는 방식이야.”
그게 바로 README.md의 본질이다.
📄 README란 무엇인가?
- GitHub 저장소의 루트(root)에 있는 README.md 파일은 저장소에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문서다.
- .md는 Markdown 포맷을 의미해. 쉽게 쓰고, 깔끔하게 보이는 문서 포맷이지.
✍️ 가장 기본적인 README 구조
# 프로젝트 이름
설명 한 줄 — 이 프로젝트는 무엇을 위한 건가요?
## 사용 방법
1. 설치
2. 실행
3. 결과 확인
## 기여하기
Pull Request 환영합니다!
## 라이선스
MIT
문법은 간단하지만, 그 사람의 깊이가 드러나는 공간이기도 하지.
📚 예쁜 README 템플릿도 많다
GitHub에서는
다양한 README 템플릿도 찾을 수 있어.
- readme.so ← GUI로 쉽게 만들 수 있는 툴
- GitHub Profile README Examples
기술보다 중요한 건,
“나의 기록을 어떻게 말하느냐”는 태도야.
📌 README는 나만의 깃발이다
README는 단순히 “설명문”이 아니다.
그건 “이 저장소가 어떤 세계관을 담고 있는지” 보여주는
깃발 같은 존재다.
- 그 깃발이 너의 철학을 말하고,
- 그 깃발이 다른 사람을 끌어당기고,
- 그 깃발이 기록을 살아 있게 만든다.
✍️ 마무리하며
우리는 이제 기록을
단순히 남기는 것을 넘어
설명하고, 소개하고, 공감받는 글로 바꾸는 연습을 하게 됐다.
기록이 외부와 연결될 때,
그건 더 이상 일기가 아니라
대화가 된다.
README.md는
그 첫 마디를 여는 문장이다.
🔖 다음 예고
📘 Ep.09 | 나만의 Git 루틴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