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OpenAI

  • 🚀 지금 AI는 어디까지 왔는가 – 2025년 최신 보고서로 본 기술의 대격변

    🚀 지금 AI는 어디까지 왔는가 – 2025년 최신 보고서로 본 기술의 대격변

    늦깎이 창업자이자 디지털 아버지의 시선으로 읽은 BOND의 2025 AI 트렌드 리포트


    📌 프롤로그

    2025년 5월,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캐피탈 BOND가 발표한 『AI Trends Report』를 처음 펼쳤을 때, 나는 마치 새로운 문명의 지도를 마주한 탐험가처럼 느꼈다.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이미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왔지만, 이 보고서를 통해 그 속도가 얼마나 빠르며, 그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를 체감할 수 있었다.


    1. 변화의 속도는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르다

    ChatGPT 사용자/구독자/수익 증가 그래프

    📈 ChatGPT 사용자 증가 그래프

    출처: BOND, OpenAI (2025)

    • ChatGPT는 단 17개월 만에 8배 성장하여 8억 명의 주간 사용자를 돌파했다.
    • 이 속도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아이폰이 대중화된 속도보다도 훨씬 빠르다.

    2. AI는 이제 ‘기능’이 아니라 ‘기반 인프라’다

    NVIDIA AI 생태계 개발자, 스타트업, GPU 기반 앱 성장 그래프

    📊 NVIDIA AI 생태계 성장 그래프

    2025년 기준, NVIDIA AI 생태계 개발자 수 600만 명

    • AI는 새로운 전기처럼 작동한다. 모든 산업의 바닥을 다시 깔고 있다.
    • 엔비디아 CEO는 AI 데이터 센터를 ‘AI 공장’이라 불렀다. “에너지를 넣으면, 가치 있는 무언가가 나온다.”

    3. 중국과 미국의 AI 패권 경쟁도 심화 중이다

    오픈소스 vs 클로즈드 LLM 성능 비교 (중국 포함)

    📉 LLM 시장 점유율 그래프

    2024-2025년 데스크탑 LLM 점유율 비교

    • 중국은 오픈소스 모델 배포, 산업용 로봇 설치, 의료 분야의 AI 활용에서 빠르게 미국을 따라잡고 있다.
    •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지정학적 무기이자 주도권의 열쇠가 되고 있다.

    4. 교육과 일자리도 AI로 재편되는 중

    미국 내 AI vs 비-AI IT 직종 변화율

    🧑‍💻 미국 내 IT 직종 증가율 (AI vs Non-AI)

    2018–2025: AI 직군 +448%, Non-AI -9%

    • AI는 이미 노동시장의 판을 바꾸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밍, 디자인, 의료, 금융 등 사고 중심 산업에서의 영향력이 크다.
    • Duolingo CEO는 “프로그래밍도, 체스도 모르는 직원 2명이 AI를 활용해 커리큘럼 전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5. 나와 우리 가족은 이 변화 속에서 어떤 방향을 선택할 것인가?

    AI는 단지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삶의 방식, 일의 방식, 배움의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

    그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할 수 있을까?

    • 나는 ‘늦깎이 건강노트’ 프로젝트를 통해 건강정보와 AI를 연결하는 작은 실험을 시작했다.
    • 이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속도와 방향으로, 내 삶과 가족에게 이득이 되는 방식으로 AI를 받아들이려는 시도다.

    🧭 결론: 느리지만, 방향을 아는 자가 가장 멀리 간다

    “AI는 결국, 우리 안의 인간성을 더 깊이 묻는 거울일지도 모른다.”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우리는

    속도보다는 깊이를,

    흥분보다는 성찰을,

    기술보다는 사람을 중심에 둘 필요가 있다.


    📎 참고 링크 & 이미지 출처

  • 사진 한 장으로 음식의 정체를 알다 — 늦깎이의 GPT 실험기

    사진 한 장으로 음식의 정체를 알다 — 늦깎이의 GPT 실험기

    🍜 GPT-4o와 함께 만든 나의 첫 AI 실험기

    프로그래밍을 늦게 시작한 나는,
    늘 이런 생각을 품곤 했다.

    “이 나이에, 이 몸으로, 나도 새로운 걸 만들어볼 수 있을까?”


    📸 음식 사진을 보여주면 AI가 알려준다?

    OpenAI가 새로 공개한 GPT-4o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모델이다.
    나는 여기에 도전했다.

    “내가 찍은 음식 사진을 보고, AI가 어떤 음식인지, 대략 몇 칼로리인지 알려주면 어떨까?”

    그렇게 만들어진 나의 작은 앱:
    👉 GitHub에서 보기


    🔧 사용한 기술

    • Python
    • Streamlit (간단한 웹앱 프레임워크)
    • OpenAI GPT-4o API
    • .env를 이용한 API 키 관리

    🧠 직접 써본 GPT-4o의 능력

    실제로 라면 사진을 보여주자, 이렇게 대답했다:

    “이 음식은 한국식 라면으로 보입니다. … 칼로리는 대략 500~600kcal 정도입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한국식 라면 한 그릇 — 고기, 파, 콩나물, 고추가 토핑된 따뜻한 국물 라면
    GPT-4o가 분석한 한국 라면 이미지 — 정성스럽게 담긴 한 그릇의 이야기

    🛠️ 사용법 요약

    1. 사진을 업로드하면
    2. GPT-4o가 내용을 분석해서
    3. 음식명 + 칼로리 예측을 친근한 말투로 알려준다

    🌱 늦게 피어난 개발자의 메모

    이 프로젝트를 통해 느낀 건 하나다.

    “빠르지 않아도 된다. 중요한 건 내가 가고 있다는 것.”

    GPT-4o는 정말 똑똑했고,
    나는 그 똑똑함을 빌려 내 삶의 조각을 표현하는 도구를 만들었다.


    📬 함께 해보실래요?

    • GitHub 저장소 보기
    • 앞으로는 식단 기록 기능도 추가할 예정
    • 블로그에 댓글 달아주시면 다음 기능 반영해볼게요!

    🙏 마무리 인사

    이 글은 단지 기술 후기가 아니라,
    어느 한 사람의 ‘시작’에 대한 기록입니다.

    혹시 당신도 “늦은 것 같아”라는 생각이 들었다면,
    나처럼 한번 시작해보세요.

    그리고 우리, 천천히 같이 갑시다.